본문 바로가기
세상이모저모/신비로운 동물 이야기

태즈메이니아 해변에 좌초된 230여마리의 고래들

by 물 샘 2022. 9. 24.
반응형


이번 주 호주 태즈메이니아의 서해안  외딴 해변에서 200여 마리의 고래가 떼죽음을 당한 후 구조대가 32마리의 파일럿 고래(둥근머리 돌고래)를 구조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파일럿 고래는 매우 사회적인 포유류 동물이며, 지속적인 의사소통에 의존하는 크고 긴밀한 공동체 안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무리를 지어 좌초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발이 묶인 고래들은 월요일에 태즈메이니아 야생동물 관리들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그 당시, 그 무리의 절반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초기 보고서들은 그 동물들의 약 절반이 살아있다고 추정합니다,"라고 보고서에 덧붙였습니다
그러나 일주일이 지나고 상황이 악화되면서 생존개체의 수가 줄어들기 시작했습니다.

태즈메이니아 공원 및 야생동물국의 Brendon Clark는 금요일 아침 기자회견에서 "오늘 아침 생존해 있던 35마리의 고래들 중 32마리를 가까스로 다시 띄우고 구조하고 방류하는데 성공했습니다"고 말했습니다.
클락 대변인은 "레인저들은 30일 밤 다시 좌초한 고래 1마리를 안락사시켜야 했고, 3마리의 고래는 조석 상황 때문에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남아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우선 순위는 여전히 남아 있는 동물들을 구조하고 방출 해주는 것입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런 다음 구조팀은 고래 사체를 바다에 버리는 것으로 전환할 것입니다.


클라크는 "우리는 그들을 우리가 할 수 있는 한 먼 바다로 데려가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앞서 수영하는 사람들에게 상어가 모일 경우에 대비해 이 지역을 피하라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200마리의 고래가 죽었고, 35마리가 호주에서 집단 좌초된 후 생존해 있습니다.
이유는 여전히 오리무중입니다.
고래 좌초 사례는 수십 년 동안 해양 과학자들을 당황하게 했습니다.

 

이번 주 또 다른 비극적 사례는 12마리가 넘는 어린 향유고래들이 다른 태즈메이니아 해변에서 죽은 채 발견된 것을 보았습니다. 대부분 수컷인 이 동물들은 월요일 오후에 야생동물 당국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는데, 같은 숫컷떼의 일부인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호주 본토의 남쪽 해안에 있는 섬 주 태즈메이니아에서 발생한 첫 번째 사건이 아닙니다. 
가장 큰 좌초 현상은 450마리 이상의 파일럿 고래가 발견된 2020년에 발생했습니다.
무슨이유로 고래 좌초가 일어났는지 알수 없으며 확정 지을수 없을것 같습니다" 라고 목요일에 천연 자원과 환경부가 말했습니다.
그들 전문가들은 가장 최근의 좌초 사건에 대해 "사후 조사에 착수하고 있습니다".

 

 

 

References.

.edition.cnn.com

.www.bbc.com

 

 

 

 

2022.07.28 - [미스터리 스토리/우주와행성이야기] - 동물들의 이상 행동들과 대량 죽음 원인

 

동물들의 이상 행동들과 대량 죽음 원인

화산 활동 및 기상이변의 증가와 더불어 지구의 동물들에게 이상한 행동들이 관찰된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가 행성 X(Nibriu)가 태양계 내부에 진입할때 동반되는 현상이라고 주장과 견해가 있습

su10a.tistory.com

2022.07.25 - [세상이모저모] -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10톤 고래가 발견되어 과학자들이 당황하다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10톤 고래가 발견되어 과학자들이 당황하다

최근 자연 서식지에서 수 마일 떨어진 브라질의 외딴 정글에서 36피트 길이의 고래(예스, 고래한마리)가 발견되었는데, 그 때 청소용 독수리가 꽥꽥 소리를 내면서 지역 관리들의 주의를 환기시

su10a.tistory.com

2022.07.27 - [세상이모저모] - 벨루가 돌고래가 함박 미소를 지은 이유

 

벨루가 돌고래가 함박 미소를 지은 이유

수년 간  갇혀 있던 벨루가 고래 듀오가  바다로 되돌아 가는날 얼굴에 함박 미소를 지었습니다. 이 두 마리의 벨루가 돌고래는 10년이나 지난후에 중국의 수족관에서 구출되었습니다. 돌고래

su10a.tistory.com

 

반응형

댓글